이강덕 포항시장이 최근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환경국 운영을 무책임하고 안일하게 운영하고 있다는 지적으로 도마에 오르고 있다. 포항환경운동연합(사무국장 정침귀)은 지난달 30일 “지난 2017년 7월, 포항시가 조직개편으로 신설한 환경녹지국이 시민들에게 무능하고 안일하게 비춰지고 있다”고 성토했다. 이어 “그럴 바에는 아예 폐지하라”고 독설을 날렸다.환경운동연합은 성명서를 통해 포항시 환경국 운영의 실기 세 가지를 들어 집중 성토했다.첫 번째로 “남구 동해면 토지구획정리지구 오염토 문제에 대해 포항시 환경국이 어떤 발 빠른 대처를 했는지 알 수 없다”며 의문을 제기했다. 포항환경운동연합은 “오염토 무단 적치 문제가 지역사회에서 불거지자 부시장과 환경국은 마을을 방문해 원상복구를 약속했다”며 “원상복구가 단지 오염토를 도로 반출하는 수준인지, 지역 환경을 위한 근본적인 복구인지 명확히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포항 지역에 널리 분포된 이암에서 산성용출수가 발생하고, 이게 알칼리성 폐수와 섞이며 발생한 현상임은 분명한 사실”이라며 “그러나 그것은 흰거품과 침전물의 ‘발생 원리’이지 ‘자연현상’이 아니다”고 일축했다. 연합 측은 “이차전지 제조 공정에서는 필연적으로 고농도의 염류와 다량의 알칼리성 폐수가 발생한다는 상식을 숨기고, 굳이 알칼리성인 ‘생활하수 등과 섞여 발생’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많지 않은 정주민들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것”이라고 토로했다.환경연합은 “모터 가동으로 거품을 제거하는 것이 포항시의 최선이냐”며 “그 관리조차 허술한 포항시 환경국은 ‘자연현상’이라는 표지판부터 폐기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뿐만 아니라 “포항시는 이차전지 산업단지 개발로 인한 환경문제의 책임을 더 이상 회피하지 말고, 죽천리 해안과 영일만 오염에 대한 장기적인 관리계획을 수립하라”고 요구했다.세 번째로 “포스코 포항제철소의 고로 정비를 위해 가동을 일시 중단하는 휴풍과 작업을 재개하는 재송풍 일정에 대해, 포항시는 그동안 제철소의 통보를 받고도 포항시 홈페이지에는 지난 2020년 10월부터 2021년 3월까지의 휴풍 일정만 게재했을 뿐, 이를 시민들에게 알리지 않았다”며 이유를 따져 물었다.포항환경운동연합은 “철강도시 포항시가 환경문제 전반을 전략적으로 다루고, 대기·수질·악취 등 환경 민원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환경국을 신설했지만, 현재 시민들에게 비춰지는 환경국의 모습은 무능하고 안일하다”며 포항시 환경국의 제 역할을 촉구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