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경찰이 수사 중인 사건의 이해 당사자와 부적절한 회동을 해 논란(본지 2월 5일 보도)인 가운데 당시 자리에 함께 있던 최주원 전 경북경찰청장이 해당 사건의 수사개시 보고를 받았던 것으로나타났다. 26일 경북일일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지난해 5월 29일 일요서울은 ‘단독추적 이철우 경북지사, 국정원 시절 ‘고문피해’ 주장 언론 입막음 의혹’의 제목으로 기사를 보도했다. 해당 기사에는 ‘지역매체가 이철우 경북지사를 찾아 국정원 근무 시절 고문 피해자들에 대한 취재를 한 뒤 3년 연속 행사 후원을 했다’고 보도했다. 또 일요서울의 해당 기사를 접한 경북경찰은 지난해 6월 P 언론사에 대한 수사개시를 위해 경북경찰청의 과장, 부장, 청장에게 보고와 수사지휘, 아울러 경찰청에 보고를 거친뒤 수사에 착수한 것으로 파악됐다. 게다가 P 언론사 수사개시를 보고 받고도 문경 출신인 최주원 전 경북경찰청장은 지난해 7월 13일 경북 문경의 한 매운탕 집에서 일요서울 회장, 종교인, 문경시장, 노인단체 등과 어울려 부적절한 회동을 했다.이 부적절한 회동 일주일 뒤인 7월 20일 P 언론사에 대한 경북경찰의 대대적인 압수수색이 이어졌고, 현재까지 P 언론사와 이벤트 대행업체에 대한 수사를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일요서울이 보도한 해당 기사는 법원이 경북도의 허위기사 가처분신청을 받아들여 지난해 9월 6일 기사 전체가 삭제됐다.이를 두고 지역의 한 언론인 연합회장은 “문경 출신인 일요서울 회장이 김관용 경북지사 시절 연간 10억에 달하는 광고비를 받다 이철우 도지사가 취임하면서 연간 수천만원대로 삭감되자 흠집 내기를 하는 것 아니냐”며 의혹을 제기했다. 그러면서 “이른바 문경패밀리로 알려진 최주원 전 경북경찰청장이 해당 사건을 보고받고도 일요서울 회장과 동석해 회동을 한 것은 부적절한 처사다”고 지적했다.경북도 한 관계자는 “김관용 도지사 시절 일요서울의 광고비는 알려줄 수 없느나, 현재 일요서울의 광고비가 연간 수천만 원대로 삭감된 것은 사실이다”고 말했다. 경북경찰 관계자는 “해당 사건에 대해 적법한 절차를 거쳐 수사를 하고 있다”며 “특정 언론이나 외압에 의한 수사는 전혀 없다”고 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30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