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고제일(千古第一)의 재녀(才女)로 불리는 이청조(1084~1155)는 송(宋)나라의 저명한 여사인(女詞人)으로 호는 이안거사(易安居士)이며 齊州(제주, 지금의 산동성 제남) 출신이다. 결혼 초기에는 생활이 넉넉해 남편 조명성(趙明誠)과 함께 서화(書畫)와 금석(金石)을 수집하고 정리하는 데 힘썼다. 금(金)나라 군대가 쳐들어오자 남쪽으로 피난을 가 객지 생활을 하다 남편 조명성이 병들어 죽자 외로운 삶을 보낸다. 그녀의 사(詞)는 초기에는 여유로운 생활을 많이 적었고 후기에는 신세를 한탄하는 슬픔을 표현했다. 백묘법(白描法, 수식이나 과장없이 단순하고 간결하게 형상 묘사)을 잘 사용하고 작품 속 어휘가 참신하고 아름답다. 작품의 조화로운 음률과 우아한 정취를 강조했으며 사(詞)는 ‘별시일가(别是一家)’라는 말을 제기해 시문(詩文)의 방법으로 사(詞)를 짓는 것을 반대했다. 시(詩) 또한 잘 지었으나 많이 남아 있지 않으며 시국의 변화를 한탄하는 강개한 풍격(風格)으로 사풍(詞風)과 다르다.   聲聲慢 성성만 shēnɡ shēnɡ màn 李淸照 이청조 Lǐ Qīngzhào尋尋覓覓, xún xún mì mì,찾고 찾고 또 찾아도,冷冷淸淸, lěnɡ lěnɡ qīnɡ qīnɡ,쓸쓸하고 적막하니,悽悽慘慘戚戚.qī qī cǎn cǎn qī qī.슬프고 처량하기 그지없네. 乍暖還寒時候, zhà nuǎn huán hán shí hóu,잠시 따뜻하다 추워지는 시기라,最難將息. zuì nán jiānɡ xī.몸조리하기 몹시 어렵구나. 三杯兩盞淡酒, sān bēi liǎnɡ zhǎn dàn jiǔ,두세 잔 약한 술로,怎敵他、曉來風急. zěn dí tā、xiǎo lái fēnɡ jí.어찌 세찬 새벽바람 견뎌낼지.雁過也, yàn ɡuò yě,기러기 날아가니,正傷心, zhèng shānɡ xīn,마음이 아픈 건,却是舊時相識. què shì jiù shí xiānɡ shí.옛날 본 적 있는 기러기라네.滿地黃花堆積. mǎn dì huánɡ huā duī jī.집안 마당엔 노란 국화꽃이 쌓였구나.憔悴損, qiáo cuì sǔn,초췌한 모습으로,如今有誰堪摘. rú jīn yǒu shuí kān zhāi.이제 누가 꽃을 꺾으랴.守著窓兒, shǒu zhe chuānɡ ér,가만히 창가를 지키고 앉아,獨自怎生得黑. dú zì zěn shēnɡ dé hēi.홀로 어찌 날이 어둡기를 기다릴지. 梧桐更兼細雨, wú tónɡ ɡènɡ jiān xì yǔ,오동나무 잎엔 가랑비 내리고,到黃昏、點點滴滴. dào huánɡ hūn、diǎn diǎn dī dī.해 질 무렵 빗방울 떨어지네. 這此第, zhè cì dì,이 광경,怎一個、愁字了得. zěn yí ɡè、chóu zì liǎo dé.어찌 ‘수(愁)’ 한 글자로 다 말할 수 있으랴. ① 尋尋覓覓(심심멱멱) : 잃어버린 모든 것을 되찾고 싶다는 뜻으로 매우 공허하고 망연자실한 마음을 표현.② 悽悽慘慘戚戚(처처참참척척) : 슬프고 근심스러운 모양.③ 乍暖還寒(사난환한) : 가을 날씨가 갑자기 따뜻해졌다가 다시 추워지는 것을 말함.④ 將息(장식) : 옛 방언으로 몸조리를 한다는 뜻.⑤ 怎敵他(즘적타) : 대응하다, 막아내다.⑥ 損(손) : 정도가 매우 높음을 나타냄.⑦ 怎生(즘생) : 어떤, 어떻게, 어찌, 生은 어조사.⑧ 此第(차제) : 이 상황, 이 광경. 이 사(詞)는 이청조가 남쪽으로 내려간 이후에 지은 후기 작품이다. 1127년 여름 휘종(徽宗)과 흠종(欽宗)이 북으로 잡혀가며 북송(北宋)은 멸망한다. 이해 3월 이청조의 남편 조명성은 모친상으로 먼저 남쪽으로 내려가고, 8월에 자신도 남쪽으로 내려가 남편과 서로 만난다. 1129년 8월 남편이 병으로 세상을 떠나니, 이때 이청조의 나이는 46세였다. 금(金)나라의 병사들이 침입하자 이청조는 남편을 안장한 후 건강(建康, 지금의 강소성 남경)에서 절강성(浙江省) 동부까지 피난길을 떠난다. 나라는 망하고 남편은 죽고, 자신의 처지가 너무나 처량하고 서글프나 그런 마음을 풀 길이 없어 이 사(詞)를 지었다. 이 작품은 작가가 늦가을에 보고, 듣고, 느낀 것을 묘사하면서 자신의 나라도 집도 망하고 정처 없이 떠돌아다니는 외로움과 적막함, 슬픈 정서를 나타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30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