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대학에서 산학협력단장으로 일할 때 대학교육의 특성화를 계획하는 단계에서 다른 나라 사례들을 조사하기 위해 해외탐방을 다녀올 기회가 있었다. 뉴질랜드의 직업교육을 둘러보고 우리나라 교육부에 해당하는 호주의 교육청을 방문할 기회가 있었다. 당시 호주 교육청의 앤드류 국장은 업무 이야기 전에 호주에 대한 전반적인 이야기를 해주었었다. 호주에는 원주민을 기리는 행사를 아직까지 하고 있는데, 현재 호주인들의 정체성을 기억하게 하기 위함이라고 했다. 현재 호주에 살고있는 백인들은 오래동안 호주에 살던 원주민이 살던 땅에 들어와서 살고 있다는 것을 기억하기 위함이라는 설명이었다. 1788년 1월 26일 아서 필립 총독이 호주 시드니 커브에 깃발을 꽂고 영국의 통치권을 선언하게 되는데 이날은 ‘호주의 날’로 기념되고 있지만 원주민들에게 이날은 ‘침략의 날’로 여겨진다. 호주라는 나라는 동물과 각별한 관련이 있다. 1788년 호주에 양(sheep)과 다른 가축들, 그리고 물품을 실은 최초의 함대가 호주 남쪽 땅에 식민지에서 필요한 짐을 내렸을 때, 호주라는 신흥국가의 경제가 양모산업 위에 세워지리라고 생각한 사람은 없었다. 이후 호주 양모산업은 국가경제의 근간이 되었다. 이런 호주에서 양 목축업계가 초기에 겪은 가장 큰 문제는 오랫동안 살아온 호주의 야생개로서 잘 알려져 있는 딩고(dingo)가 골칫거리였다. 딩고는 우리나라 사람들은 잘 모를수 있는데, 순종 딩고는 키가 60cm 정도에 체중이 대략 15kg인데, 호주 본토의 가장 큰 육식동물이며, 하룻밤에 50마리의 양을 물어 죽일 수 있었다. 결국, 호주에는 중국의 만리장성보다 더 긴, 세계에서 가장 긴(5,321 km)차단용 울타리가 양모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서 호주 남동부 전체에 건설되었고, 개 울타리 남(안)쪽에서 딩고는 호주에 해로운 동물로 선포되어졌다. 딩고 머리가죽 하나 당 US$380(현 환율로 한화 50만원이상)까지 현상금이 올라가기도 했다. 하지만 양모산업과 관련 없는 호주 울타리 북쪽에서의 딩고는 합법적인 야생 동물로서 간주되고, 자유롭게 돌아다녔다. 유럽에서 첫 이주자들이 호주에 도착했을 때에 야생의 딩고들 다수는 진정한 야생이 아니라, 인간 보호자와 함께 살고, 먹고, 사냥을 하였다. 호주 원주민들에게 ‘워리걸(warrigal)’로 불리는 딩고는 가축으로서 매우 중요하였다. 딩고는 잠자리를 따뜻하게 해 주었고, 캠프를 깨끗게 했으며, 사냥을 돕고, 경계를 서주었다. 딩고는 원주민들의 암각화에서, 호주 원주민들의 이야기 속에서도 등장한다. 또한 플레이아데스 성단은 오리온좌의 두 마리 딩고에게 쫓기는 캥거루의 무리로서 묘사되고 있다. 초기 유럽에서 온 이주자들이 혹심한 호주 기후에 더 잘 적응하는 품종을 얻기 위해 자기들이 데리고 온 목축개와 딩고를 열심히 교배시킨 것을 보면, 딩고는 분명히 개에 속한다. 호주의 목축개인 일명 퀸즈랜드 힐러(Queensland heeler)와 호주 캘피(Australian kelpie)는 딩고와의 잡종으로 인정되고 있다. 그렇다면 호주 들개인 딩고는 집에서 기르던 개가 야생화된 것일까?, 아니면 늑대와 같은 야생동물이 길들여진 것일까? 딩고가 아시아의 일부 가축용 개들과 매우 닮았고, 원주민들과 같이 살았으며, 또한 인간을 제외하고는 호주대륙에서 유일한 큰 태반포유류임을 근거로, 딩고의 선조는 집개(domestic dogs)라고 많은 사람들이 말한다. 그러나 이 점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들도 많아 학자들이 부르는 학명도 통일되지 않고 있다. 오랫동안 딩고는 집개의 아종(Canis familiaris dingo)으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1982년에, 일부 분류학자들은 딩고를 늑대의 아종(Canis Lupus dingo)으로 분류할 것을 추천했다. 다른 이들은 딩고를 독립 종(Canis dingo)으로 불렀다. 복잡하고 어려운 이야기로 들리는데, 한마디로 딩고는 집개였을까? 늑대였을까? 집개나 늑대가 아니라 딩고라는 존재가 있었던 것일까? 어떻게 연구자들은 결론을 내렸을까? 최근 유전학 연구는 딩고와 관련한 논쟁을 종식시킨 것으로 보인다. 유전학에 기초한 연구에 의하면, 딩고는 동남아시아로부터 호주에 들어온 단지 소수의 집개의 후손이 결국 야생화 되었다는 믿을만한 증거들이 나타났다. 유전공학적 연구들은 ‘한 마리의 임신한 암컷’이 호주대륙에 건강한 딩고를 퍼뜨렸다는 것을 보여준다. 호주 본토 자체가 아시아에서 분리되자, 사람들은 보트, 뗏목, 또는 카누로 이동하는 상황이 되었고 딩고는 그 때에 최초 이주자, 또는 이후의 이주자들이 데리고 오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호주 북부지역의 라라키아(Larrakia) 부족의 전설에 의하면, 카누로 도착하고 있는 그들의 조상들이 개를 동반하고 왔음을 말하고 있다. 거기에 더하여 재미있는 사실이 있다.  호주 캥거루에 기생하는 이(lice)가 호주인근에 위치한 인도네시아의 개에서도 발견되었는데, 이것을 단서로 개와 사람의 이동과 대륙의 이동, 캥거루의 이동과 멸종에 대한 다양한 탐색까지 진행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2024년 아시안컵이 한창 진행되고 있다. 흔히 보이는 동남아시아, 중동의 아시아 사람들과 생김새가 다른 백인들이 다수 분포된 호주가 왜 아시아로 분류되고 있는지 자녀들이 궁금해 하지 않았는가? 딩고라는 개 이야기와 함께 오랜만에 세계지도를 꺼내놓고 이야기를 나눠보자. 아이들에게 재미있고 기억에 남는 공부가 될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경북일일신문

동물교감교육을 위한 개의 이해-개의 기원을 찾아서(2)..
오피니언

동물교감교육을 위한 개의 이해-개의 기원을 찾아서(2)

경북일일신문 기자 gbilp@naver.com 입력 2024/02/20 18:00수정 2024.02.20 18:02

 

이동훈 애니온 대표이사
이동훈 애니온 대표이사

 

 

 

 

 

 

 

 

 

 

 

 

예전에 대학에서 산학협력단장으로 일할 때 대학교육의 특성화를 계획하는 단계에서 다른 나라 사례들을 조사하기 위해 해외탐방을 다녀올 기회가 있었다. 뉴질랜드의 직업교육을 둘러보고 우리나라 교육부에 해당하는 호주의 교육청을 방문할 기회가 있었
다. 당시 호주 교육청의 앤드류 국장은 업무 이야기 전에 호주에 대한 전반적인 이야기를 해주었었다.
호주에는 원주민을 기리는 행사를 아직까지 하고 있는데, 현재 호주인들의 정체성을 기억하게 하기 위함이라고 했다. 현재 호주에 살고있는 백인들은 오래동안 호주에 살던 원주민이 살던 땅에 들어와서 살고 있다는 것을 기억하기 위함이라는 설명이었다. 1788년 1월 26일 아서 필립 총독이 호주 시드니 커브에 깃발을 꽂고 영국의 통치권을 선언하게 되는데 이날은 ‘호주의 날’로 기념되고 있지만 원주민들에게 이날은 ‘침략의 날’로 여겨진다. 호주라는 나라는 동물과 각별한 관련이 있다. 1788년 호주에 양(sheep)과 다른 가축들, 그리고 물품을 실은 최초의 함대가 호주 남쪽 땅에 식민지에서 필요한 짐을 내렸을 때, 호주라는 신흥국가의 경제가 양모산업 위에 세워지리라고 생각한 사람은 없었다. 이후 호주 양모산업은 국가경제의 근간이 되었다.
이런 호주에서 양 목축업계가 초기에 겪은 가장 큰 문제는 오랫동안 살아온 호주의 야생개로서 잘 알려져 있는 딩고(dingo)가 골칫거리였다. 딩고는 우리나라 사람들은 잘 모를수 있는데, 순종 딩고는 키가 60cm 정도에 체중이 대략 15kg인데, 호주 본토의 가
장 큰 육식동물이며, 하룻밤에 50마리의 양을 물어 죽일 수 있었다. 결국, 호주에는 중국의 만리장성보다 더 긴, 세계에서 가장 긴(5,321 km)차단용 울타리가 양모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서 호주 남동부 전체에 건설되었고, 개 울타리 남(안)쪽에서 딩고는 호주에 해로운 동물로 선포되어졌다. 딩고 머리가죽 하나 당 US$380(현 환율로 한화 50만원이상)까지 현상금이 올라가기도 했다. 하지만 양모산업과 관련 없는 호주 울타리 북쪽에서의 딩고는 합법적인 야생 동물로서 간주되고, 자유롭게 돌아다녔다.
유럽에서 첫 이주자들이 호주에 도착했을 때에 야생의 딩고들 다수는 진정한 야생이 아니라, 인간 보호자와 함께 살고, 먹고, 사냥을 하였다. 호주 원주민들에게 ‘워리걸(warrigal)’로 불리는 딩고는 가축으로서 매우 중요하였다.
딩고는 잠자리를 따뜻하게 해 주었고, 캠프를 깨끗게 했으며, 사냥을 돕고, 경계를 서주었다. 딩고는 원주민들의 암각화에서, 호주 원주민들의 이야기 속에서도 등장한다. 또한 플레이아데스 성단은 오리온좌의 두 마리 딩고에게 쫓기는 캥거루의 무리로서 묘사
되고 있다. 초기 유럽에서 온 이주자들이 혹심한 호주 기후에 더 잘 적응하는 품종을 얻기 위해 자기들이 데리고 온 목축개와 딩고를 열심히 교배시킨 것을 보면, 딩고는 분명히 개에 속한다. 호주의 목축개인 일명 퀸즈랜드 힐러(Queensland heeler)와 호주 캘피(Australian kelpie)는 딩고와의 잡종으로 인정되고 있다. 그렇다면 호주 들개인 딩고는 집에서 기르던 개가 야생화된 것일까?, 아니면 늑대와 같은 야생동물이 길들여진 것일까? 딩고가 아시아의 일부 가축용 개들과 매우 닮았고, 원주민들과 같이 살았으며, 또한 인간을 제외하고는 호주대륙에서 유일한 큰 태반포유류임을 근거로, 딩고의 선조는 집개(domestic dogs)라고 많은 사람들이 말한다. 그러나 이 점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들도 많아 학자들이 부르는 학명도 통일되지 않고 있다. 오랫동안 딩고는 집개의 아종(Canis familiaris dingo)으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1982년에, 일부 분류학자들은 딩고를 늑대의 아종(Canis Lupus dingo)으
로 분류할 것을 추천했다. 다른 이들은 딩고를 독립 종(Canis dingo)으로 불렀다. 복잡하고 어려운 이야기로 들리는데, 한마디로 딩고는 집개였을까? 늑대였을까? 집개나 늑대가 아니라 딩고라는 존재가 있었던 것일까? 어떻게 연구자들은 결론을 내렸을까? 최근 유전학 연구는 딩고와 관련한 논쟁을 종식시킨 것으로 보인다. 유전학에 기초한 연구에 의하면, 딩고는 동남아시아로부터 호주에 들어온 단지 소수의 집개의 후손이 결국 야생화 되었다는 믿을만한 증거들이 나타났다. 유전공학적 연구들은 ‘한 마리의 임신한 암컷’이 호주대륙에 건강한 딩고를 퍼뜨렸다는 것을 보여준다. 호주 본토 자체가 아시아에서 분리되자, 사람들은 보트, 뗏목, 또는 카누로 이동하는 상황이 되었고 딩고는 그 때에 최초 이주자, 또는 이후의 이주자들이 데리고 오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호주 북부지역의 라라키아(Larrakia) 부족의 전설에 의하면, 카누로 도착하고 있는 그들의 조상들이 개를 동반하고 왔음을 말하고 있다.

거기에 더하여 재미있는 사실이 있다. 

호주 캥거루에 기생하는 이(lice)가 호주인근에 위치한 인도네시아의 개에서도 발견되었는데, 이것을 단서로 개와 사람의 이동과 대륙의 이동, 캥거루의 이동과 멸종에 대한 다양한 탐색까지 진행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2024년 아시안컵이 한창 진행되고 있다. 흔히 보이는 동남아시아, 중동의 아시아 사람들과 생김새가 다른 백인들이 다수 분포된 호주가 왜 아시아로 분류되고 있는지 자녀들이 궁금해 하지 않았는가? 딩고라는 개 이야기와 함께 오랜만에 세계지도를 꺼내놓고 이야기를 나눠보자. 아이들에게 재미있고 기억에 남는 공부가 될 것이다.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30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