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교육청이 관내 교복 입찰 방식이 업체들의 가격 담합을 키우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20일 경북도교육청은 교복 입찰을 2단계 입찰 또는 제안 입찰 방식으로 공고했다.   이를 두고 지역에서는 특정 업체만 단독으로 참여해 입찰을 유찰시킨 후 수의계약으로 이어지게하거나, 두 업체가 가격 담합을 통해 특정 업체가 낙찰받도록 유도한 정황이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의혹을 제기된 것은 2023년부터 일부 학교에서는 제안 입찰이 공고되더라도 특정 업체 한 곳만 응찰하는 `지역 쪼개기` 현상을 두고 최근 두드러지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있다. 특히 최근 A 학교에는 D 업체, B 학교에는 E 업체, C 학교에는 F 업체가 각각 단독으로 입찰에 참여해 경쟁을 제한하고 수의계약을 유도했다는 의혹이 일고있다. 게다가 최저가 낙찰 방식인 2단계 입찰에서도 논란이 일고있다. 입찰에 참여한 A 업체와 B 업체의 가격 차이가 1000원에서 2000원에 불과해 이를 둘러싸고 담합 의혹이 제기됐다.이같은 구조적 문제는 교복 단가 상승으로도 이어졌다. 최근 3년간 교복 가격은 약 12% 상승했으며, 지난해보다 최대 5%가 올랐다. 대부분 학교의 입찰 가격 상승률이 비슷한 수준을 보여 담합 가능성을 가세하고 있다. 아는 학교가 한 업체와 일괄 구매하는 방식은 다른 매장에서 교복을 구매할 수 없게 만들어 사실상 독점권을 부여하며, 이로 인해 가격 상승이 초래되었다는 비판까지 제기되고 있다.한편 한 지역 학교에서는 학부모와 학생들이 직접 교복을 구매할 수 있는 자유구매 방식으로 전환한 결과, 업체 간 경쟁이 촉진돼 교복 단가가 하락한 사례도 있는 만큼 이번 입찰을 두고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번 논란으로 지역에서는 경북교육청 관내 학교 교복 구매 시스템 전반에 대한 재검토 필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단체 구매 방식이 교복 단가 상승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면서, 학부모측과 관련 업계에서는 “시중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교복을 선정하고, 자유구매와 같은 대안을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앞서 경북도교육청은 자판기와 매점 임대료로 수백만원에서 수억원까지 수익을 올려 학교 운영비로 사용하면서, 폭리를 취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어 이번 교복 가격 담합 의혹 역시 학생과 학부모들에게 경제적 부담을 전가했다는 지적을 끊이지 않게 받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30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